좋은 글

긍정적 정서가 성공의 원인이 된다. -연세대 김주환 교수 강의 <KBS 아침마당>

신우림 2012. 8. 26. 17:40

설득을 잘 하면 설득을 통해 원하는 모든 것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신과 같다.

설득을 잘 하려면 소통을 잘 해야 한다.

 

소통의 중요성

1. 모든 가치는 인간관계에서 나온다.

2. 내가 존재하고 인간관계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맺는 인간관계의 총화가 나이다.

3. 소통은 건강과 직결된다. 심혈계 질환이나 암은 인간관계를 통한 소통에 따라 예방,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고로 행복해야 성공한다.

성공을 해야 긍정적 정서와 행복감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역순임.

 

소통을 잘 하는 방법

긍정적 정서를 가진다.

 

실례)

초등학생/의사 문제풀이 사례 - 기능적 고정성의 극복력이 좋아야 문제 해결가능한 경우 (창의성 발휘의 한 사례)

: IQ랑 상관없음, 긍정적 정서의 유발 효과에 따라 문제를 잘 해결하고 능력이 발휘됨

초등학생들에게 사탕을 주니 창의상 발휘해야 풀리는 문제를 75%가 풀고 사탕을 안 받은 학생은 20%만 풀었다.

의사들에게 어려운 오진하기 쉬운 간질환 문제를 주었다. 사탕을 받은 의사가 사탕을 받지 않은 의사보다 오진이 적고 더 잘 진단하였다.

의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현 실험에서 다시 같은 결과 나옴

(사탕을 받으므로 긍정적 정서, 기분 좋아짐이 형성된 것임)

 

긍정적 정서를 가지기 위해서는,

1.      스스로 긍정적 정서를 가지는 습관을 가져라: 스스로에게 사탕을 주어라.

2.     나든 남이든 행복하게 하려면 자율성을 부과하라.

(잔소리, 지시, 강제는 사람을 불행하고 무능하게 만든다.)

 

3.      나에 대한 긍정 / 타인에 대한 긍정

: 나와 타인에 대한 사랑과 존중, 배려

이를 위해 감사명상을 한다.

 

감사명상의 방법

1)자기전(왜냐하면 자기전에 해야 기억의 고착화가 이루어진다.)

2)그날 있었던 감사한 일 5가지 떠올림

 

4.규칙적 운동(, 머리, 정서에 좋다.) : 특히 에어로빅 매우 정서에 좋다.

 

결론:

긍정은 성공의 원인이다.

행복은 권리이기 이전에 의무이다.  ( 정서는 전파되므로 짜증이나 부정적 정서는 주변사람을 다운시킨다. 우린 그럴 권리가 없다. 행복은 의무이다.)

 

요약

성공하려면 긍정적 정서를 가져라

긍정적 정서를 가지려면

1.     스스로 긍정적 정서를 가지는 것을 습관화하고

2.     나와 타인에 대해 긍정적 정서를 가지며

3.     스스로가 자율성을 갖도록 동기화하고 그런 환경을 조성하라.

4.     규칙적 운동(, 머리, 정서에 좋다.)을 하라.

 

회복탄력성의 저자, 연세대 김주환 교수 강의 <KBS 아침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