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료
이 새옹지마(塞翁之馬)
신우림
2012. 10. 6. 11:16
人生은 塞翁之馬
※아래 표시하기 클릭
人生은 塞翁之馬
|
새옹지마 塞翁之馬
새옹의 말에 얽힌 이야기에서 나온 것으로 인간마사의 길흉화복은 변하기 때문에
예측할 수가 없다는 말이다.
옛날 중국 북방 오랑캐들이 사는 호지(胡地)와의 국경에 점술에 능한
노옹(老翁)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아무 까닭도 없이 옹의 말이 호지로 달아나 버렸다.
사람들은 그 딱한 사정을 위로해 주기 위해 찾아왔다.
그러나 옹은 조금도 걱정하는 빛이 없이 말했다.
"전화위복이란 말이 있지 않습니까. 과히 걱정할 필요는 없겠지요."
과연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도망쳤던 말이 호지의 좋은 말을 데리고 돌아왔다.
사람들은 곧 축하하러 왔다.
"이게 또 무슨 화근이 될지 모르지요."
옹은 조금도 반가운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말타기를 좋아하는 그의 아들이 호지에서 온 말을 타다가
낙마하여 절름발이가 되고 말았다.
그래 서 동네 사람들은 또다시 위로를 하러 왔다.
"아닙니다. 이 일이 어떤 다행한 일이 될지 모르지요."
옹은 그야말로 천하태평이었다.
그후 1년쯤 지나서 호인(胡人)이 성채에 쳐들어왔다.
마을의 젊은이들은 모두 전쟁터로 나가 싸워 열에
아홉은 전사했다. 그러나 옹의 아들은 불구자여서 무사했다.
이 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성어는
새옹득실(塞翁得失), 새옹화복(塞翁禍福)
또는 인간만사 새옹지마라는 말로도 사용되고 있다.
인간만사 새옹지마는 원(元)나라의 중 회기(晦機)의 시에서
최초로 쓰였는데 그 시구는 다음과 같다.
인간의 모든 일은 새옹의 말과 같아 예측할 수 없으니
퇴침헌 가운데서 빗소리를 들으며 누워 잠이나 자련다.
청송암 옮긴 글
새옹지마 塞翁之馬
새옹의 말에 얽힌 이야기에서 나온 것으로 인간마사의 길흉화복은 변하기 때문에
예측할 수가 없다는 말이다.
옛날 중국 북방 오랑캐들이 사는 호지(胡地)와의 국경에 점술에 능한
노옹(老翁)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아무 까닭도 없이 옹의 말이 호지로 달아나 버렸다.
사람들은 그 딱한 사정을 위로해 주기 위해 찾아왔다.
그러나 옹은 조금도 걱정하는 빛이 없이 말했다.
"전화위복이란 말이 있지 않습니까. 과히 걱정할 필요는 없겠지요."
과연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도망쳤던 말이 호지의 좋은 말을 데리고 돌아왔다.
사람들은 곧 축하하러 왔다.
"이게 또 무슨 화근이 될지 모르지요."
옹은 조금도 반가운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말타기를 좋아하는 그의 아들이 호지에서 온 말을 타다가
낙마하여 절름발이가 되고 말았다.
그래 서 동네 사람들은 또다시 위로를 하러 왔다.
"아닙니다. 이 일이 어떤 다행한 일이 될지 모르지요."
옹은 그야말로 천하태평이었다.
그후 1년쯤 지나서 호인(胡人)이 성채에 쳐들어왔다.
마을의 젊은이들은 모두 전쟁터로 나가 싸워 열에
아홉은 전사했다. 그러나 옹의 아들은 불구자여서 무사했다.
이 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성어는
새옹득실(塞翁得失), 새옹화복(塞翁禍福)
또는 인간만사 새옹지마라는 말로도 사용되고 있다.
인간만사 새옹지마는 원(元)나라의 중 회기(晦機)의 시에서
최초로 쓰였는데 그 시구는 다음과 같다.
인간의 모든 일은 새옹의 말과 같아 예측할 수 없으니
퇴침헌 가운데서 빗소리를 들으며 누워 잠이나 자련다.
청송암 옮긴 글
아래 표시하기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