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 보감

반포지교(反哺之敎)

신우림 2016. 9. 8. 11:23

침도도우(針盜盜牛)

(바늘 침, 훔칠 도, 훔칠 도, 소우)

<해석> 바늘 도둑이 소를 훔친다.

<속뜻> 바늘을 훔치던 사람이 계속 반복하다 보면 결국은 소까지도 훔친다는 뜻으로, 작은 나쁜 짓도 자꾸 하게 되면 큰 죄를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유래> 우리 속담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를 한자어로 바꾼 것


언어도단(言語道斷)

(말씀 언, 말씀 어, 길 도, 끊을 단)

<해석> 말할 길이 끊어졌다.

<속뜻> 어이가 없어서 말하려 해도 말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유래> 원래는 불교어로서, 최상의 오묘한 진리는 말로 표현할 수 없다는 뜻에서 나옴.


인과응보(因果應報)

(인할 인, 결과 과, 응할 응, 갚을 보)

<해석> 선악에 응하여 갚음이 나타남.

<속뜻>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

<유래> 불교의 윤회설에서 유래. 《열반경(涅槃經)》에 “善惡之報, 如影隨形, 三世因果, 循環不失.”이라는 구절이 보임.


반포지교(反哺之敎)

(되돌릴 반, 먹일 포, 어조사 지, 가르칠 교)

<해석> 거꾸로 먹여 주는 가르침.

<속뜻>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행위가 주는 교훈을 뜻함.

<유래> 진(晉)나라 성공수(成公綏)의 <오부(烏賦)>에서 유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