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식.삼락.삼금.삼락
(씨익)三食 , 三樂, 三禁, 三禮와 六不問은?(씨익)(씨익)(씨익)
{三食 : 세가지를 먹어라.}
1. 술을 먹되,
2. 안주와 같이 먹고,
3. 밥까지 먹으라.
{三樂 : 세가지를 즐겨라.}
1. 술과 안주맛을 즐기고,
2. 대화를 즐기며,
3. 운치(분위기)를 즐겨라.
{三禁 : 세가지를 금하라.}
1. 정치 이야기를 금하고,
2. 종교 이야기를 금하며,
3. 돈자랑, 자식자랑을 금하라.
{三禮 : 세가지 예의는 지켜라.}
1. 술을 적당히 권하고,
2. 말 조심하고,
3. 상대방의 기분을 생각하며 마셔라.
{六不問 : 여섯가지를 묻지마라.}
1. 가족근황 / 특히 배우자 안부를 속속들이 묻지말라.
2. 경제사정 / 빚쟁이 살림살이를 속속들이 묻지말라.
3. 건강상태 / 오랜 지병을 속속들이 묻지말라.
4. 친소관계 / 친구들과의 우정을 속속들이 묻지말라.
5. 정당관련 / 여야(與野)와 피아(被我), 동지(同志)와 정적(政敵)을 속속들이 묻지말라.
6. 과거오류 / 옛 허물을 확인하듯 속속들이 되묻지말라.
내 입장이 아닌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하고
말을하면 만사형통이 될것입니다.
** 古典 名言 名句 **
나무는 겨울이 되어 잎이 떨어진 뒤라야 꽃 피던 가지와 무성하던 잎이 다 헛된 영화였음을 알고,
사람은 죽어서 관뚜껑을 닫기에 이르러서야 자손과 재물이 쓸데 없음을 안다.
······· "채근담"
십년 만에 죽어도 죽음이요, 백년 만에 죽어도 역시 죽음이다.
어진이와 성인도 죽고, 흉악한 자와 어리석은 자도 역시 죽게된다.
썩은 뼈는 한가지인데 누가 그 다른점을 알겠는가?
그러니 현재의 삶을 즐겨야지 어찌 죽은 뒤를 걱정할 겨를이 있겠는가?
······· "列子"
유익한 벗이 셋 있고 해로운 벗이 셋 있느니라.
곧은 사람과 신용있는 사람과 견문이 많은 사람을 벗으로 사귀면 유익하며,
편벽한 사람과 아첨 잘하는 사람과 말이 간사한 사람을 벗으로 사귀면 해로우니라.
······· "孔子"
나이와 상관없이, 지위와 상관없이, 집안의 세력에 상관없이 벗을 사귀어라.
벗이란 상대방의 덕을 가려 사귀는 것이요,
여기에 무엇을 개입시켜서는 안 되느니라.
······· "孟子"
덕행을 이룬 현인은 높은 산의 눈처럼 멀리서도 빛나지만,
악덕을 일삼는 어리석은 자는 밤에 쏜 화살처럼
가까이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어리석은 사람은 한평생 현인과 가까이 지내도 현인을 알아보지도 못하고 현인의 진리도 깨치지 못한다.
······· "법구경"
친구님들^^
즐건 주말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