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정보

취업을 앞두고 살펴 보자

신우림 2013. 9. 25. 10:49

직업선택의 포인트

 

우리가 직장을 구해서 일을 한다는 것은 단순히 생계유지를 위해서만은 아닙니다. 스스로 성취욕을 느끼고 자존감과 삶의 의미도 함께 느끼면서 사회에 공헌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직업선택을 어떤 기준으로 할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돈입니다. 월급을 적게 준다든가 돈을 적게 번다면 그 직장이나 직업은 그만 두게 될 것입니다. 더 좋은 직장과 직업을 구하게 될 것입니다. 돈 이외에 어떤 기준들이 있을까요.

사람들의 직업선택기준:

돈/경제력, 부모/책임감, 명예/지위, 대외인지도, 학력/학위, 전공/지식, 소속/안정감, 직무확장/경력, 전망/장래성, 성격/기질/흥미, 적성/재능, 성취감/보람, 삶의 가치관, 꿈/비전, 자기실현, 사회공헌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은 “지금 힘들어도 10년 후에 좋아질 것 같은 회사. 지금은 보수가 적지만 10년 후에는 10배를 받을 것 같은 기대되는 회사. 이런 회사는 절대로 선택하지 마라”라고 했습니다. 지금 즐겁지 못하면 10년 후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의 적성에 맞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해야만 합니다. 10년 후, 자신이 큰 부자가 되더라도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해야만 합니다. 이 말은 참고로 알고 계시고, 지금 당장 직장을 구해서 돈을 벌어야하는 절박한 사항인데, 사치로 들릴 수도 있습니다.

첫 번째 직장을 발판으로 삼아 더 좋은 직업을 가지자는 의미에서 직업선택의 포인트를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신의 눈높이에 맞는 직장을 선택하라.

2. 유망 직종에 포커스를 맞춰라.

3. 자신의 능력을 펼칠 수 있는 곳을 선택하라.

4. 자기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라.

5. 평생 한 가지 직업에 종사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자.

 

워렌 버핏은 “이 세상에서 성공적인 직업과 그렇지 않은 직업은 없다. 성공적인 직업인과 그렇지 않은 직업인이 있을 뿐이다.” 맞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성공적인 직업인으로 남기를 기원해 봅니다.

 

현명한 직업선택 방법

 

돈이라는 가치 기준과 흥미나 보람과 같은 이상적 가치 기준을 두고 우리는 양자 선택을 해야만 합니다.

보통 우리가 어렸을 때 학교에서 꿈을 가지라고 교육을 받습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어서는 밥벌이를 하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금전적인 문제에 자신의 가치 기준을 둔다면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직업을 구하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펀드메니저, 은행원, 회계사, 변호사 등이 이에 속할 수가 있습니다.

반면 흥미나 보람을 자신의 가치 기준으로 가지고 있는 사람은 돈을 버는데는 큰 관심이 없는 사람입니다. 시간적 여유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이에 속할 수가 있지요. 사회 복지사, 가수, 배우, 운동선수, 봉사활동가들이 이에 속할 수가 있습니다.

머리를 쓸 것인가, 몸을 쓸 것인가.

머리를 써서 돈을 벌려고 한다면 교수나 변호사 연구원을 직업으로 선택해야 하고 몸을 써서 돈을 벌어야 겠다는 사람은 건축이나 운전기사 막노동을 하는 직업을 구하면 되는 것입니다.

 

어느 고등학교의 직업선택 10계명

 

1. 월급이 적은 쪽을 선택하라.

2. 내가 원하는 곳이 아니라, 나를 필요로 하는 곳을 선택하라.

3. 승진의 기회가 거의 없는 곳을 선택하라.

4. 앞다투어 모여드는 곳은 절대로 가지마라. 아무도 가지 않는 곳을 가라.

5. 모든 조건이 갖춰진 곳을 피하고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는 황무지를 선택하라.

6. 장래성이 전혀 없다고 생각되는 곳으로 가라.

7. 사회적 존경을 바라 볼 수 없는 곳으로 가라.

8. 한가운데가 아니라 가장자리로 가라.

9. 부모나 아내나 약혼자가 결사반대하는 곳은 틀림없다. 의심치 말고 가라.

10. 왕관이 아니라 단두대가 기다리는 곳으로 가라.

 

신입사원의 자세

 

신입사원이 들어오게 되면 회사에 많은 직원들이 관심이 많아지게 되어 있습니다. 관심이 집중 되는 가운데 신입사원의 평판이 형성 되게 되는데 신입사원들은 어떤 자세로 임해야 할까요.

 

1. 10분 일찍 출근하고 10분 늦게 퇴근 하라. 10년 후 10배로 돌아온다.

2. 내가 먼저 상냥하게 인사를 하자. 인사 잘 하면 사랑 받는다.

3. 약속을 함부로 하지 마라. 약속 못 지키면 상사로부터 눈총 받는다.

4. 동료나 상사의 흉을 뒤에서 보지 마라. 들통나면 쫓겨날 수도 있다.

5. 내가 맡은 직무는 최고가 되도록 공부하고 노력 하자. 알아서 남 안준다.

6. 회식 자리에서 절대 과음 하지 마라. 술 때문에 인생 망칠 수 있다.

7. 모르면 선배직원에게 물어라. 묻는 자에게 복이 온다.

8. 지각이나 실수를 했을 때 주저하지 말고 잘못되었다고 말하자. 잘못을 인정하면 용서를 해 준다.

9. ‘잘못되었습니다.’ ‘미안합니다.’ ‘고맙습니다.’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자. 직장 생활이 순탄해 진다.

10. 선배가 바빠 보이면 빈말이라도 ‘도와 드릴까요’ 라고 물어라. 내일이 편안해 진다.

11. 조직에서 큰 줄기가 되도록 노력하자. 큰 줄기로 성장하면 돈도 사람도 모인다.

12. 침묵의 힘을 알자. 아인슈타인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성공을 A라고 가정할 경우 ‘A=X+Y+Z’라고 말입니다.

그의 말에 따르면 ‘X is work. Y is play. Z is keep your mouth shut.’이라고 한다. 다시 말하자면 열심히 일하고, 잘 놀고, 침묵하면 성공한다는 말입니다. 물론 열심히 일하고 잘 노는 것은 우리인생에서 아주 중요합니다.

13. 어려운 외래어 사용하지 말고, 고운 우리말을 사용하라. 외래어 잘 못 사용하다가 몸까지 꼬이는 수가 나 올 수도 있다.

 

 

꼴불견 신입사원

 

1. 선배님! 몇 년 근무 하셨어요. 그리고 월급은 얼마인데요?

2. 회사를 온 건지 놀러 온 건지 구분이 안 되는 신입사원

3. 휴대폰을 연신 들고 있는 신입사원

4. 너무 야한 옷을 입은 신입사원. 근무를 하러 온 건지 몸매 자랑을 하는 건지 구분이 안감

5. 무조건 열정적으로 일하면 민폐의 근원이 됨

6. 툭하면 그만 두겠다는 신입사원. 입사하려는 사람 줄을 섰다.

7. 동료들과 같이 흥겹게 놀다가, 불법이며 경찰에 신고하는 신입사원. 동료부터 따돌림 당한다.

8. 자신감이 지나쳐 잘 난척하는 신입사원. 자신감을 지나치게 어필하면 꼴불견이 된다.

9. 잘 보이기 위해 나대는 신입사원. 과도한 아부성 문자나 행동은 나중에 아킬레스 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적을 만드는 타입이 될 수 있다.

10. 빈둥빈둥 게으른 신입사원. 게으르고 남의 눈치만 보는 사람은 부처도 싫어한다.

11. 눈치코치도 없는 어리버리한 신입사원. 선배 직원들의 속만 태운다. 나중에 고문관으로 낙인 찍힐 수도 있다.

 

직업별 연봉 순위

(자료 제공 : 저축은행 중앙회, 2010~2011년)

 

1. 기업 고위임원(CEO) : 109,880천원

2. 국회의원 : 106,520천원

3. 도선사 : 105,390천원

4. 성형외과 의사 : 92,780천원

5. 항공기 조종사 : 91,830천원

6. 변호사 : 88,600천원

7. 외과 의사 : 82,680천원

8. 치과 의사 : 82,240천원

9. 대학교 총장 : 80,400천원

10. 행정부 고위 공무원 : 74,030천원

11. 정신과 의사 : 73,940천원

12. 의학계열 교수 : 73,320천원

13. 산부인과 의사 : 72,830천원

14. 프로야구 선수 : 71,550천원

15. 안과 의사 : 71,500천원

 

미래의 유망직종

 

1. 바이오에너지연구 및 개발자

2. 항공기 조종사

3. 선박교통 관제사

4. 심리학 연구원

5. 치과 의사

6. 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7. 임상 심리사

8.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9. 관광통역 안내원

10. 사회복지사

11. 호텔관리자

12. 반도체공학 기술자

13. 향기치료사(아로마테라피스트)

14. 놀이치료사

15. 언어치료사

16. 음악치료사

17. 태양열연구 및 개발자

18. 컴퓨터 프로그래머

19. 투자분석가(애널리스트)

20. 금융자산 운용가

 

유망직종 자격증

 

1. 보육교사 자격증

2. 사회복지사 자격증

3. 평생교육사 자격증

4. 건강가정사 자격증

5. 심리상담사 자격증

6. 미술심리상담사 자격증

7. 특수아동전문상담사 자격증

8. 경매사 자격증

9. 동화구연지도사 자격증

10. 성교육상담사 자격증

11. 베이비시터 자격증

12. 치매예방관리사 자격증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산행 모든 최신 정보  (0) 2013.10.27
韓國 山行 地圖   (0) 2013.10.22
각종 냄새 없에는 방법  (0) 2013.09.14
특이한 생활의 지혜(知慧)  (0) 2013.09.01
전국의 산이란   (0) 201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