耳.目.口.鼻를 配置한 神의 攝理 耳.目.口.鼻를 配置한 神의 攝理 人間의 5官을 머리및 얼굴에 配置한 심오한 理由 1. 두 눈이 얼굴의 위쪽에 놓인 이유 : 모든 일을 근시안 으로 보지 말고 멀리 내다보라는 뜻,또 머리 위쪽에 위치한 이유는 뒤를 돌아보지 말고앞을 향하여 꿋꿋이 나가라는 뜻이다. 2. 귀가 2개이고 입이 하.. 예 절 2017.10.21
구시화문(口是禍門)이란? 구시화문(口是禍門)이란? 입(口) 이란무엇인가? 입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입구이다. 입 을 통해서 밥도 먹고 과일도 먹고 고기도 먹고 술도 마 신다. 음식물이 입에 들어가야 사람은 에너지를 확보 할 수 있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사람이 먹는 음식물이 어디서 왔는가를 따져보면 땅 (地.. 예 절 2017.10.21
본관(本貫), 관향(貫鄕), 고향(故鄕) 본관(本貫), 관향(貫鄕), 고향(故鄕) "자네, 본관은 어디인고...?" "자네, 관향은 어디인고...?" "자네, 고향은 어디인고...?" 이상의 질문은 '당신은 어떤 물에서 놀았느냐?'를 묻는 말이다. 본관과 관향 그리고 고향은 각각 다른 뜻을 가지고 있는 말들이다. 정서가 무르익었던 곳, 꿈이 펼쳐지.. 예 절 2017.10.21
[스크랩] 산신제(山神祭) 12. 산신제(山神祭) 산신제를 후토제(后土祭, 토지를 맡아보는 신인 후토에 대한 제사)라고도 하는데 조상 묘소가 있는 산의 신에게 제사지내는 것이다. 산신제의 제수는 묘사와 같으나 묘사보다 감쇄하기도 한다. 묘사나 차례를 지내는 주인이 제주가 되기도 하고 주인 이외의 사람이 제.. 예 절 2016.11.08
[스크랩] 축문(祝文) 8. 축문(祝文) 축문이란 제사를 받드는 자손이 제사 대상인 조상에게 제사의 연유와 정성스러운 감회, 그리고 마련한 제수를 흠향하시라고 권하는 글이다. 살아 계신 어른에게 색다른 음식을 올릴 때 의당 권하는 말씀을 올리는 것처럼 조상에게도 제수를 올리면서 축문을 작성하여 고(故.. 예 절 2016.11.08
[스크랩] 기제축문(忌祭祝文)의 한글화 제안 제목 : 기제축문(忌祭祝文)의 한글화 제안 [취지 및 동기]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사례(四禮) 혹은 관혼상제(冠婚喪祭)라 하여 관례(冠禮)·혼례(婚禮)·상례(喪禮)·제례(祭禮)에 관한 예법(禮法)을 중하게 여겨, 이를 실행하는 절차와 방법들이 소상히 전해져 오고 있다. 혹시 이를 실천함.. 예 절 2016.10.09
초복날은 초복은 하지가 지난 뒤 일간이 세번째 庚이 드는 날 중복은 하지가 지난 뒤 일간이 네번째 庚이 드는 날 말복은 입추가 지난 뒤 일간이 첫번째 庚이 드는 날 이다. 참고로 십간을 소개하면.. 甲과 乙은 방위가 동쪽이고, 오행은 木에 해당하는 봄의 온화한 계절 丙과丁은 방위가 남쪽이고, .. 예 절 2014.03.29
친척간의 호칭 ◈꼭 알아야 할 친척간의 호칭 ◈ 호칭 특별호칭 관계 아버지 어머니 부친(父親) 가친(家親) 모친(母親) 자친(慈親) 나를 낳아주신 분 나를 길러주신 분 할아버지 할머니 조부(祖父) 조모(祖母) 아버지의 아버지 아버지의 어머니 증조 할아버지 증조 할머니 증조부(曾祖父) 한 할아버지 증.. 예 절 2014.03.29
경조사 의 명칭 경조사 이름 * 봉투 쓰기 요즘 이렇게 사용하는 분들 혹 있을런지 모르겠으나 우리나라 고유풍습이므로 따라 하셔도 좋을듯 해서 올려 봅니다 필요한 분은 복사 또는 스크랩 해 가세요 회갑 回甲 : 61세 되는해 (환갑 還甲) 진갑 進甲 : 회갑 다음해 (진갑進甲) 칠순 七旬 : 70세 되는해 (고희.. 예 절 2014.03.29
호칭과 촌수 친척간의 호칭과 촌수와 계보 호칭 특별호칭 관계 아버지 어머니 부친(父親) 가친(家親) 모친(母親) 자친(慈親) 나를 낳아주신 분 나를 길러주신 분 할아버지 할머니 조부(祖父) 조모(祖母) 아버지의 아버지 아버지의 어머니 증조 할아버지 증조 할머니 증조부(曾祖父) 한 할아버지 증조모(.. 예 절 2014.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