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야 할 한자상식 꼭알아야할 한문 문구 알아야 할 한자상식 1.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갖추어야 할 네 벗인 지(紙)·필(筆)·묵(墨)·연(硯), 곧 종이·붓·먹·벼루의 네 가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身言書判 [신언서판]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에서 인물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던 기준. .. 명심 보감 2016.10.08
반포지교(反哺之敎) 침도도우(針盜盜牛) (바늘 침, 훔칠 도, 훔칠 도, 소우) <해석> 바늘 도둑이 소를 훔친다. <속뜻> 바늘을 훔치던 사람이 계속 반복하다 보면 결국은 소까지도 훔친다는 뜻으로, 작은 나쁜 짓도 자꾸 하게 되면 큰 죄를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유래> 우리 속담 '바.. 명심 보감 2016.09.08
문경지교(刎頸之交)의 뜻과 유래 문경지교(刎頸之交)의 뜻과 유래 <의미> 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친구 刎 : 목벨 문 頸 : 목 경 之 : 어조사 지 交 : 사귈 교 刎頸(문경)운 목을 벤다는 뜻이고 交(교)는 사귄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죽고 살기를 같이하여 목이 떨어져도 두려워하지 않을 만큼 친한 사귐 또는.. 명심 보감 2016.09.08
좋은글 한복/미인 감상하면서 좋은글 ~~~~~~~~~~~~~~~~~~~~~~~~~~~~~~~~~~ 힘으로 남을 이기려 하지 말라. 맹자가 말하였다. ' 힘으로 남을 이기려 하면 겉으로는 복종 하는 체하지만 진심으로 복종한 것이 아니라 힘이 부족해서요, 덕으로써 남을 복종시키려하면 마음속으로 기뻐서 진심으로 복종하게 된.. 명심 보감 2014.03.29
맹자(孟子)의 4단(四端)과 4덕(四德) 맹자(孟子)의 4단(四端)과 4덕(四德) 4단(四端) 4단(端)은 실마리의 뜻으로, 유교에서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는 네가지 마음씨를 말한다. 측은지심(惻隱之心) 인(仁)에서 우러나는 측은히 여기는 마음, 즉 곤경에 처한 사람을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羞惡之心) 의(義)에서 우러나는 .. 명심 보감 2014.02.13
사서(四書).삼경(三經) 사서(四書).삼경(三經) 사서(四書) ◆사서(四書):대학,중용,논어, 맹자를 합해서 사서라고 합니다. 송나라 때 정자라는 분이 자은(子恩)의 예기에서 대학,중용을 분리하여, 논어,맹자와 함께 엮어 내어서 사서로 만들었습니다. 그 전에는 오경(五經)이 읽혀졌으나, 어려워서 별로 호응을 못 .. 명심 보감 2014.01.24
마음을 씻어주는 명심보감3 마음을 씻어주는 명심보감3 10. 한쪽 말만 믿어서는 안 된다. " 한쪽 말만 들으면 서로 헤어지게 된다. " 11. 남을 욕하는 건 하늘에 침 뱉는 격이다. " 악한 사람이 착한 사람을 욕하거든 모른 체해야 한다. 모른 체하고 대답하지 않으면 마음이 편하고 욕하는 사람의 입만 아플 뿐이다. 이는 .. 명심 보감 2013.09.11
고사성어 ⊙ 竿頭之勢(간두지세) 어려움이 극도에 달하여 꼼짝 못하게 됨. 대막디기의 맨 끝에 선 것 같다는 뜻. ⊙ 姦雄(간웅) 간사한 지혜가 있는 사람 ⊙ 干城之材(간성지재) 방패와 성같은 구실을 하는 인재(국방의 책임을 다할 장수감) ⊙ 看雲步月(간운보월) 객지에서 집생각을 하고 달밤에 멀.. 명심 보감 2013.09.11
사람의 다섯가지 행실 . 五常 [오상] 사람의 다섯가지 행실. 즉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10. 五友 [오우] 다섯 종류의 절개 있는 식물. 선비가 벗삼을 만한 식물. 梅(매화)·蘭(난)·菊(국화)·竹(대나무)·蓮(연꽃). 11. 五淸 [오청] 다섯 가지의 깨끗한 사물. 선비들이 즐겨 그리는 것. 松(소나무)·竹(.. 명심 보감 201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