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김씨 허백당(虛白堂) 문중 특별전 풍산김씨 허백당(虛白堂) 문중 특별전 열어. 한국국학진흥원은 유교박물관에 풍산김씨 허백당(虛白堂) 문중에서 기탁한 자료들을 전시했다. <민심을 보듬고 나라를 생각하며>라는 주제로 전시된 200여 점의 작품들은 10월 7일부터 2014년 1월 5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전시한다. 전시한 작.. 원풍이네 미동 2013.10.18
[스크랩] 풍산김씨 허백당 문중 특강과 특별전 가져. 풍산김씨 허백당 문중 특강과 특별전 가져. 한국국학진흥원은 풍산김씨 허백당(虛白堂) 문중에 관한 특강과 특별전시회를 가졌다. 지난 7일 오전 10시 한국국학진흥원 대강당에서 <민심을 보듬고 나라를 생각하며>라는 주제로 안동시내 문중 대표와 유림 등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 원풍이네 미동 2013.10.18
문중에서 배출한 생원진사 합격자는 오미동의 우리 문중(풍산김씨)은 예로부터 안동 서부지역 풍남, 풍북, 풍서, 풍현의 四大家門 (하회-풍산 류씨, 우렁골-예안-전의 이씨, 가일-안동 권씨. 오미동-풍산 김씨)에 속할 만큼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명문가 이다. 문중에서 배출한 생원진사 합격자는 무려 77명에 이르렀고, .. 원풍이네 미동 2013.10.09
안동의 인물 - 학호(鶴湖) 김봉조(金奉祖) 안동의 인물 - 학호(鶴湖) 김봉조(金奉祖) 김봉조(金奉祖)의 자는 효백(孝伯)이며 호는 학호(鶴湖)이며 본관은 풍산이다. 허백당(虛白堂) 김양진(金楊震)의 증손인 유연당(悠然堂) 대현(大賢)의 아홉 자제 중 맏자제로 한양 장의동(지금의 청운동)에서 선조 5년(1572)에 태어났다. 서애 류성룡.. 원풍이네 미동 2013.06.17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 안동의 인물 -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 공은 허백당(虛白堂) 김양진(金楊震)의 증손인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의 아홉 자제 중 여섯째 자제이며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 휘는 응조(應祖)이며 본관은 풍산(豊山)이다. 16세 때 부친을 여의고 줄곧 백형(휘: 봉조奉祖)의 훈도.. 원풍이네 미동 2013.06.17
남녀유별 내외담이 아름다운 풍산김씨(豊山金氏) 종택(宗宅) 풍산김씨 종택은 경북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자리하고 있다. 오미리는 풍산김씨 오백년 세거지이기도 하다. 이 종택은 선조 때의 학자인 유연당 김대현 선생이 1554년(명종9)에 창건하였으나 임란때 소실되고 1600년(선조3)에 학호 김봉조 선생이 다시 건립한 가옥이라 한다. 이 가옥은경.. 원풍이네 미동 2013.01.19
오미동 참봉댁과 풍산김씨 영감댁 안동의 종택·고택 오미리는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이다.. 풍산김씨 500년 세거지인 이동네는 김대현 선생의 아들 8형제가 모두 진사에 이르렀고 그중 다섯 형제가 문과에 급제하자 인조 임금이 팔련오계(八蓮五桂)라 하여 오미동으로 지명을 하사한후 오미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오미동 참봉댁 중종때 .. 원풍이네 미동 2013.01.19
안동, 전통마을, 오미동 깊어지면 아름다움도 짙어지나 보다. 가을이 색의 깊이를 더하니 아름다움도 한결 짙어져 간다. 하물며 계절도 이러하거늘 사람이 살면서 지켜온 마을은 얼마나 더 할까? 아름다운 가을들판을 곁눈질로 날리며 나는 오미동으로 간다. 오미동(五美洞)은 풍산김씨(豊山金氏) 500년 세거지(.. 원풍이네 미동 2013.01.19
허백당 김양진(1467~1535) 허백당 김양진(1467~1535) 자는 백기(伯起), 호는 허백당(虛白堂), 진산(珍山公 諱:徽孫)공의 1남 3녀 중 아들로 태어났다. 정부인 양천허씨(貞夫人 楊川許氏)는 장사랑(將士郞)인 서(瑞)의 딸이다. 7세에 능히 문장을 지었으며 정효항(鄭孝恒) 문하에서 글을 배웠다. 성종 20년(1489) 22세에 진사(.. 원풍이네 미동 2012.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