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대사 가계와 탄생 일화 및 선시 ★서산대사 가계와 탄생 일화 및 선시★ 1520(중종 15)∼1604(선조37).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 승군장(僧軍將). 완산최씨 (完山崔氏). 이름은 여신(汝信), 아명은 운학(雲鶴), 자는 현응(玄應), 호는청허(淸虛). 별호는 백화도인(白華道人)또는 서산대사(西山大師)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 스님의 말씀 2014.03.29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 클↓릭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detailpage&v=jybBMfI5ffQ 스님의 말씀 2014.03.29
한글 반야심경 http://www.youtube.com/watch?v=fw2ZZ4Sf7D0&feature=player_detailpage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고통에서 건지느니라.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 수 상 행 식도.. 스님의 말씀 2014.02.25
법정스님의 " 살아있는 법정스님의 " 살아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중에서 현대인의 불행은 모자람이 아니라 오히려 넘침에 있다. 모자람이 채워지면 고마움과 만족함을 알지만 넘침에는 고마움과 만족이 따르지 않는다. 우리가 불행한 것은 가진 것이 적어서가 아니라 따뜻한 가슴을 잃어 가기 때문이다. 따뜻.. 스님의 말씀 2014.02.13
반야심경듣기 반야심경듣기 ~아제아제바라아제.(반야심경해설) 참고로 이 반야심경은 인도의 옛말을 그대로 음으로 옮겨놓았기 때문에 한자를 해석하면 해석이 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산스크리트어로 기록이 된 이 반야심경은 인도유럽 어족 중 인도이란인도의 전설에 나오는 나무. 냄새가 나쁘고 열.. 스님의 말씀 2014.02.12
스님 얘기 하나 스님 얘기 하나 어느 산에 스님 한 분이 살았다. 들리는 바로는 아직까지 한 명도 그 스님의 말문을 막히게 한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어느 날 똑똑한 아이가 손에 작은 새 한 마리를 쥐고 스님에게 가서 물었다. “이 새가 죽은 건가요? 아니면 살아있는 건가요?” 스님이 살았다고 하면 .. 스님의 말씀 2014.02.02
화 안 애 어 (和 顔 愛 語 ) [화안애어(和顔愛語)] 화안애어(和顔愛語)란 말이 있습니다. 온화(溫和)하고 자비(慈悲)로운 표정(表情)과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말씨로 사람을 대하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온화(溫和)한 표정(表情) 은 몸으로 짓는 행위(行爲)라 할 것입니다. 또한 부드러운 말씨는 바로 우리들의 마음입니.. 스님의 말씀 2014.02.02
스님 얘기 하나 스님 얘기 하나 어느 산에 스님 한 분이 살았다. 들리는 바로는 아직까지 한 명도 그 스님의 말문을 막히게 한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어느 날 똑똑한 아이가 손에 작은 새 한 마리를 쥐고 스님에게 가서 물었다. “이 새가 죽은 건가요? 아니면 살아있는 건가요?” 스님이 살았다고 하면 .. 스님의 말씀 2014.01.27
반야심경(般若心經) 반야심경(般若心經) 반야심경이란 | 반야심경 | 반야심경(般若心經)이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을 줄여서 반야심경 또는 심경이라고 부릅니다. 반야심경은 六백부 반야경의 법문을 二百六0자로 집약하여 만든 경전입니다. 팔만대장경 가운데 二百六0자밖에 안.. 스님의 말씀 201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