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 보감

문경지교(刎頸之交)의 뜻과 유래

신우림 2016. 9. 8. 11:20

문경지교(刎頸之交)의 뜻과 유래



<의미>

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친구



刎 : 목벨 문

頸 : 목 경

之 : 어조사 지

交 : 사귈 교



刎頸(문경)운 목을 벤다는 뜻이고

交(교)는 사귄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죽고 살기를 같이하여

목이 떨어져도 두려워하지 않을 만큼

친한 사귐 또는 그러한 벗으로

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친구를

가르키는 말입니다.



 

<문경지교의 유래>

조나라 혜문왕때 인상여라는 신하가 있었습니다.

그는 진나라 소왕에게 빼앗길 뻔했던

명옥을 가지고 돌아온 공으로 종일품의 벼슬에 올랐습니다

인상여의 지위가 염파장군보다 높아지자

염파는 화가 나서 말했습니다.

"나는 싸움터에서 성을 빼앗고

적을 무찔러 공을 세웠습니다.

그런데 인상여가 나보다 윗자리에 앉다니..."

이말을 들은 인상여는 염파를 피해 다녔습니다.

이에 실망한 부하가 작별인사를 하러 오자

인상여는 그를 만류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자네들은 염파장군과 소왕 중에 

어느 쪽이 더 무섭다고 생각하느냐?"

"그야물론 소왕이지요"

"소왕도 두려워하지 않는 내가 염파장군을 두려워하겠는가?

진나라가 처들어 오지 않는 것은

 염파장군과 내가 버티고 있기 때문이야

만약 이 두호랑이가 싸우게 되면 모두 죽게 돼

그래서 나라의 위기를 생각하고

염파장군을 피하는 거야"

이말을 전해들은 염파는 인상여를 찾아가 

자기의 좁은 소견을 진심으로 사과했습니다.

그날부터 두사람의 우정이 시작되었다는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명심 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아야 할 한자상식   (0) 2016.10.08
반포지교(反哺之敎)  (0) 2016.09.08
좋은글  (0) 2014.03.29
맹자(孟子)의 4단(四端)과 4덕(四德)  (0) 2014.02.13
사서(四書).삼경(三經)  (0) 2014.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