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 절

혼 례(婚禮)

신우림 2011. 8. 25. 11:57

  혼 례(婚禮)

혼례란 남녀간의 육체적, 정신적 결합을 일정한 의식을 통해 함으로써 널리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으로, 관혼상제의 4의례 중에서 가장 경사스럽고 중대한 의식이다.
나이 찬 남자와 여자가 짝을 지어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것으로 가통을 잇기 위한 신성한 결합이며 오랜 전통을 지닌 가정과 가정끼리의 결합이다.

혼 례 전통 혼례는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우리 겨레가 역사를 열고 문화를 일구어 오는 동안 저절로 정착된 혼인의식이 그 하나이고 고려말 정주학(程朱學)을 수용하면서 배우게 된 유교적 혼인 의식이 그 두번째 이다.

우리 고대의 혼인 풍속은 혼례후 처음 가정을 꾸리는 곳에 따라 초서혼과 가취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서혼(招壻婚)은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장가가서 그 집 식구로 살아가는 형태이다.
데릴사위제라 볼 수있는데 고대에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남자는 아내와 아이들을 데리고 자기 집으로 돌아온다.

옛 혼례식 장면 가취혼(嫁娶婚)은 여자가 남자의 집으로 시집오는 혼인양식이다.
유교식 혼인양식과 어우러져 일반적인 형태로 정착되었다.

'예 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례(祭 禮)   (0) 2011.08.25
상 례(喪 禮)   (0) 2011.08.25
족보의 기원   (0) 2011.08.25
父母님 에게 歲拜하는 節次   (0) 2011.06.10
호칭(남편은 오빠가 아니며 )  (0) 2011.06.08